개요

얼굴어깨팔 근디스트로피(이하 FSHD)는 '안면견갑상완형 근디스트로피'라고도 하며 얼굴, 목, 팔, 견갑골의 근육이 약화되고 위축되는 신경근육계 유전 질환이에요. 약 20,000명당 한 명꼴로 발생하고 두셴 근디스트로피, 근긴장디스트로피에 이어 세 번째로 흔한 근디스트로피예요.

원인

4번 염색체 장완에 D4Z4라는 DNA 영역이 있어요. FSHD는 이 영역의 유전적 변화로 인해 발생해요. 일반적으로 D4Z4 영역에는 11개에서 100개 이상의 동일한 DNA 단위가 반복되며, 히스톤*에 메틸기*가 많이 결합하는 과메틸화Hypermethylation가 일어나 염색질 구조가 응축되어 있지요. FSHD는 D4Z4 영역에 메틸기가 적게 결합하는 저메틸화Hypomethylation로 인해 발생해요.

히스톤Histone
DNA와 함께 염색체를 구성하는 기본 단백질이에요.
메틸기Methyl group
DNA의 특정 부위에 달라붙어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대사 물질이에요. 메틸기가 많이 결합되는 과메틸화는 특정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메틸기가 적게 결합하는 저메틸화는 특정 유전자를 발현시켜요.

관련 유전자

DUX4

D4Z4 영역에 DUX4라는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는데, 아직 정확한 원리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DUX4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활동이 근육을 퇴화시킨다고 알려져 있어요. 정상적인 경우 D4Z4 영역의 과메틸화로 DUX4 유전자가 발현되지 못해요. 그러나 FSHD 환자의 경우 D4Z4 영역의 저메틸화로 DUX4 유전자가 활성화되고 비정상적인 활동을 보여요. 
전체 FSHD 환자의 약 95%인 FSHD 1형은 D4Z4 영역이 일반인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단축되어 있어 메틸기가 결합할 수 없고, 나머지 약 5%의 FSHD 2형은 SMCHD1 유전자 변이로 인해 메틸기가 결합할 수 없어요.

유전 방식

FSHD는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돼요. FSHD 환자의 약 70~90%는 부모로부터  D4Z4 영역의 반복서열 결실을 전달받아 질환이 발병하지만, 약 10~30%는 신규 발생 돌연변이(de novo mutation)로 생겨나요. 
부모 중 한 명이 FSHD 환자라면 자녀는 성별에 상관없이 50%의 확률로 FSHD를 물려받아요.

증상

1. 근골격계 이상

1-1. 얼굴

​​제일 먼저 얼굴 근육이 약화돼요. 입술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어서 휘파람을 불거나 빨대를 사용하기 힘들고, 입술을 잘 오므리지 못해요. 표정을 짓기 어려워 무표정해지며, 잠자는 동안 눈을 완전히 감을 수 없어 눈을 뜨고 자야 할 때가 있어요. 또한 얼굴 근육의 움직임 차이로 얼굴 비대칭이 나타나요.

1-2. 목, 어깨, 팔, 손

목과 견갑골 근육, 팔꿈치와 어깨 사이의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등이 위축되고 약해져요. 움직임에 제한이 생겨 어깨를 바깥쪽으로 구부리거나 돌리기 어려워지고, 증상이 더욱 진행되면 팔을 머리 위로 올릴 수 없게 돼요. 그리고 견갑골 끝 쪽이 돌출되어 마치 날개처럼 보이는 ‘견갑골 날개’가 나타나요. 손을 뻗어 벽을 앞으로 미는 동작을 취하거나, 팔을 옆으로 벌릴 때 이 증상이 더 두드러져요. 손가락과 손의 근육도 약해져서, 팔목이 아래로 굽을 수 있어요.

1-3. 복부, 엉덩이, 대퇴부

복부 근육 약화로 척추가 굽어 심한 척추전만증이 나타나요. 복부 근육이 비대칭적으로 약화되면, 누운 자세에서 목을 굽혔을 때 배꼽이 위쪽으로 움직이는 비버 징후(Beevor’s sign)도 관찰돼요. 또한 엉덩이 관절을 회전하거나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데 장애가 생겨서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쪽으로 몸이 기울어지고 비틀거리면서 걷게 돼요. 

1-4. 다리, 발

병이 진행되면서 발과 다리 아래쪽의 근육이 약해져 발을 구부리거나 위로 올리기 어려워질 수도 있어요.

2. 망막 이상

40~60%의 환자에게서 망막 혈관 기형, 망막 모세 혈관 확장증, 미세 동맥류와 같은 망막 혈관병증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시력에는 문제가 없으나, 드물게 1% 미만의 환자에게서 시력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해요.

3. 청력 이상

FSHD 환자의 약 15%는 청력 저하가 있어요. 

4. 심장 및 호흡 기능 이상

일반적으로 심장 근육과 호흡근육은 영향을 받지 않아요. FSHD 환자의 약 5%에게서 무증상 심방 빈맥이 나타날 수 있으며, 중증 FSHD 환자의 경우 폐 기능 검사에서 경미한 제한성 환기장애*를 보일 수 있어요. 

제한성 환기장애Restrictive Pulmonary Impairment
폐의 유연성이 떨어져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해요.

5. 만성 통증

FSHD 환자의 약 55~80%가 어깨, 목, 허리, 다리의 만성 통증을 호소해요. 

진단 및 검사

신체 증상 및 특징, 환자와 가족의 과거 병력 등을 통해 질환을 의심할 수 있어요. 혈액 속의 근육 효소인 크레아틴 키나아제CK; Creatine kinase 수치가 상승하거나, 근육의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를 기록하거나, 근육 생검으로 근육 조직을 분석하여 FSHD를 진단하는 방법도 있어요. 또한 D4Z4의 반복서열 결실을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어요.

치료

현재 FSHD를 완전히 치료할 순 없지만, 여러 가지 치료법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어요.
증상에 따른 대증 요법이 필요하므로 신경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이비인후과 등 여러 진료과의 종합적인 치료가 필요해요.

1. 운동과 재활

가벼운 운동, 수영 등 꾸준한 운동과 재활 치료를 통해 근육의 유연성을 유지하거나 증진시켜야 해요. 이때 운동 중간중간 휴식 시간을 가져야 해요. 얼굴 근육 약화로 인한 의사소통 장애를 줄이기 위해 언어 치료를 받을 수도 있어요.

2. 보조 기기

일상생활에서 등 지지대, 코르셋, 특수 브래지어와 같은 다양한 신체 보조 기기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다리 근육 위축으로 인한 보행 장애가 있는 경우 발목-발 보조기 또는 휠체어를 이용하고, 청력 장애가 있는 경우 보청기를 사용하여 의사소통 장애를 줄일 수 있어요.

3. 수술

견갑골을 흉곽에 고정시키는 수술을 받기도 해요. 수술로 견갑골의 위치를 원래대로 되돌리고, 병으로 제한된 어깨 관절의 움직임을 향상시킬 수 있어요.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는요
희귀질환 연구 및 환자 지원 정책 마련, 유전자 진단 지원 사업, 미진단 희귀질환 진단 연구 사업 등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보다 많은 희귀질환 환자와 보호자에게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전하고자, 그동안 내원 환자에게만 제공하던 희귀질환 콘텐츠를 레어노트와 공동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내 질환 소식도 빠르게 알고 싶다면

질환을 인증해 보세요.

자세히 보기

 


참고 문헌
  1. Preston MK et al. (2020), Facioscapulohumeral Muscular Dystrophy. 
  2. https://www.fshdsociety.org/
  3. Petra GM van Overveld et al. Variable hypomethylation of D4Z4 in facioscapulohumeral muscular dystrophy. Ann Neurol. 2005;58(4):569-76.
  4. Hwang CJ et al. Early-Onset Facioscapulohumeral Muscular Dystrophy. J Korean Orthop Assoc 2008;43:379-384.
  5. Lee SC et al . Facioscapulohumeral Muscular Dystrophy Confirmed by D4Z4 Analysis. J Korean Neurol Assoc 2008;26(3):292-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