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병은 인체의 세포와 조직 내 글리코겐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발병하는 희귀 유전병이다. 즉, GAA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GAA 효소 기능에 이상이 생겨 글리코겐이 분해가 되지 않아 발생하는 병인 것이다. 

효소 대체 요법(ERT)은 첫 번째로 상용화된 폼페병의 치료법이지만 기질감소치료(SRT)이 전임상 연구에서 치료 가능성을 나타내면서 새로운 치료법으로 등장하고 있다.

 

효소 대체 요법(ERT)이란?

ERT는 폼페병에서 결핍된 GAA 효소를 대체하는 치료법이다. 폼페병 치료제로 승인된 효소 대체 치료제는 Lumizyme 이다. 이 치료제는 이상 GAA 효소를 대체 할 수 있는 유전자 조작 효소로 이루어져 있다. 

ERT가 생존률을 높이는 것은 맞지만 폼페병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니며, 환자 전 생애에 걸쳐 주기적으로 투여를 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기질감소치료(SRT)란?

부족한 효소를 대체하는 ERT와 달리, SRT는 질병에서 문제가 되는 효소가 작용하는 분자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즉, 폼페병에서 글리코겐 자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대로라면 효소의 결핍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SRT는 고셔병파브리병과 같은 다른 리소좀 축적 장애의 치료법으로도 승인을 받았거나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폼페병의 경우, 몇가지 SRT 치료제가 현재 전임상 연구 진행 중이다. 

 

ERT가 가진 한계는 무엇인가?

ERT는 혈류에 주입된 효소 단백질이므로 인체 내 면역계가 이를 외부 물질로 인식하여 면역 반응을 일으켜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드물긴 하지만 면역 반응이 너무 강하다면 생명을 위협하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폼페병의 증상은 대부분 근육계와 심장, 신장 같은 기관에서 나타나지만 뇌와 척수가 관여한 증상도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ERT는 효소이므로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없다는 문제로 인해 신경학적 증상에 대해서는 적절한 치료제가 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SRT가 ERT의 한계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는가?

SRT는 인체에 외부 단백질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므로 면역반응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다. 또한 주사하는 방식이 아닌 복용하는 것이므로 주사로 인한 반응성을 최소화한다. 뿐만 아니라 SRT는 소분자 요법이므로 혈뇌 장벽을 쉽게 통과하여 폼페병의 신경학적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어떤 치료법이 더 효과적인가?

현재 폼페병 환자는 ERT 방식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향후 SRT 방식의 연구가 계속 된다면 두 방식 간의 비교를 통해 알맞은 것을 선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더 나은 결과를 위해 적절히 통합된 방식도 가능 할 것이다. 

현재로서는 식이 요법과 함께 유산소 운동을 통해 신진대사를 향상시켜 ERT 효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면역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알레르기 반응을 낮추면서 ERT 치료법을 지속할 수 있다.

 

출처: Pompe Disease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