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사업은 정보통신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과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저렴한 가격에 보조기기를 보급하는 사업입니다. ‘정보통신 보조기기’란 각종 정보통신 기기(컴퓨터, 휴대 전화, 팩스 등)를 더욱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보조기기로, 해당 사업은 이를 통해 정보 격차를 줄이고 경제 및 사회 활동 참여를 독려하고자 매년 시행되고 있습니다.
보조기기 보급품목 또한 매년 달라지기 때문에 나의 장애 유형에 적합한 보조기기를 잘 확인하고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참고: 아쉽게도 2021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사업의 신청은 2021년 6월 18일 자로 마감되었습니다.
2021 정보통신 보조기기 확인하는 방법
1. 홈페이지에서 검색하기
정보통신 보조기기 홈페이지(이하 홈페이지) ► 보급사업 ► 보급품목에서 2003~2021년에 보급된 보조기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애 유형, 보급 연도, 보조기기 유형을 선택해 검색이 가능합니다.
자세히 살펴보기 >
2. 안내 책자와 리플릿 확인하기
홈페이지 ► 알림마당 ► 홍보자료실에 업로드된 장애 유형별 안내 책자와 리플릿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조기기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물론 개인 부담금, 품질보증기간, 사용 가능 대상, 사용 방법 등이 상세하게 안내되어 있습니다.
※ 참고: 정보통신 보조기기 목록에서 ‘심층 상담’에 해당하는 보조기기는 방문 면접이 진행되며, 점자 관련 보조기기(점자 정보 단말기나 점자 출력기 등)는 점자 평가를 실시합니다.
나에게 맞는 보조기기 찾는 방법
1. 나에게 맞는 보조기기 페이지 활용하기
홈페이지 ► 보조기기 신청 ► 나에게 맞는 보조기기에서 장애 유형을 선택하고, 해당되는 항목에 체크한 뒤 오른쪽 아래 검색 버튼을 누르면 적합한 보조기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기 >
2. 정보통신 보조기기 자가진단표 작성하기
신청서에는 〈정보통신 보조기기 사용을 위한 자가진단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보조기기 품목별로 진단이 가능하며, 항목마다 ‘예’와 ‘아니요’를 체크합니다. 단, ‘아니요’가 1개라도 있는 경우 보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3.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역순회 체험 전시회 참여하기
전시회에서는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직접 체험해 보고 상담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자세한 사항은 전국보조기구센터(1670-5529)나 상설 체험관이 마련된 국립재활원(02-901-1959)에 연락해 확인해야 합니다.
4. 보조기기 동영상 시청하기
홈페이지 ► 보급사업 ► 보조기기 동영상에서 관심 있는 보조기기 영상을 통해 기기의 특징과 정확한 사용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장애 유형의 보조기기 신청하는 방법
원칙적으로는 나의 장애 유형에 맞는 보조기기를 신청해야 하지만, 다음 기준에 해당한다면 다른 장애 유형의 보조기기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언어 장애가 있는 뇌병변 장애인의 경우, 의사소통 및 S/W 언어 훈련 보조기기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지적·자폐성 장애인의 경우, 지체·뇌병변 장애 유형의 보조기기와 청각·언어 장애 유형의 의사소통 및 언어 훈련 보조기기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광역시·도에서 인정한 전문가(특수학교 교사, 작업 치료사, 재활 의학과 의사 등)의 소견서를 제출하는 경우, 다른 장애 유형의 보조기기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 알림마당 ► 홍보자료실에 업로드된〈2021년 정보통신 보조기기 안내 책자〉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사업 고객센터(1588-2670) 또는 지역별 접수처의 전화 상담을 통해 가능합니다.
2021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사업 ⑶에서는 보급 대상자 체크리스트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문헌
정보통신 보조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