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어노트가 제약사와 연구 기관의 소식을 모아 전해드리는 세 번째 시간이에요.
 
이번에는 국내 연구진의 새로운 유전자 전달체 개발 소식과 새롭게 밝혀진 알코올 중독 치료제의 망막색소변성증 증상 완화 효능에 대한 소식을 준비했어요.
 
설대우 교수, 새로운 유전자 치료제 전달체 개발 성공
유전자 치료제의 핵심은 정상 유전자를 세포 안으로 전달하는 ‘전달체’에 있는데요. 
기존에는 주로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AAV)가 전달체로 사용되었어요.
대표적으로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인 럭스터나Luxturna와 척수성근위축증 치료제인 졸겐스마Zolgensma가 있지요. 그러나 AAV는 EYS 유전자나 USH2A 유전자처럼 크기가 큰 유전자는 전달하지 못해요.
이와 달리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인 설대우 박사가 개발한 GLAd는 유전자 크기와 무관하게 어떤 유전자든 전달할 수 있는 전달체로, 유전자 치료제의 새로운 문을 연 셈이에요.
이러한 GLAd의 우위성을 증명하기 위해 스타가르트병이 첫 번째 질환으로 선정되었어요. 스타가르트병은 단일 유전 질환 중에서도 환자 수가 많은 편이고 대표적인 원인 유전자가 ABCA4 유전자로 밝혀졌지만, 그 크기가 커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질환이었지요. 
이번 전임상 시험은 스타가르트병을 갖고 있는 쥐 100여 마리에 정상 ABCA4 유전자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약 1년간 진행될 예정이에요. 설 교수는 “GLAd가 황반세포에 정상 유전자를 제대로 전달하는지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실험은 몇 달 내에 결과가 나올 예정이며,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도 1상과 2상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어요.
 
이를 통해 GLAd의 유효성이 확인된다면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와 망막색소변성증 등의 유전성 망막질환, 레트 증후군 같은 신경계 질환에 대한 다양한 유전자 치료제에도 적용될 가능성도 기대해볼 수 있어요.
 
술 끊는 약에서 망막색소변성증 증상 완화 효능 발견
알코올 중독 치료제로 잘 알려진 디설피람Disulfiram이 망막색소변성증으로 인한 실명 환자의 시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어요. 
미국 UC 버클리 대학교 분자 생물학 교수인 리처드 크레이머Richard Kramer 박사 연구팀은 디설피람이 알코올 분해 효소뿐만 아니라 레티노산*을 만드는 효소의 생성 또한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건데요.  
* 레티노산Retinoic acid
레티노산은 망막세포에서 빛을 인지하는 막대세포원뿔세포가 죽어갈 때 생성되는 물질이에요. 뇌로 시각 정보를 보내는 신경절 세포를 과도하게 활성화해 오히려 시각 정보의 전달을 방해해요.
크레이머 박사는 레티노산이 시력 상실과 관련해 독자적인 역할을 하리라 추정하고 있어요. 만일 디설피람이 시각을 개선할 수 있다면 알코올 분해 능력이나 다른 대사성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별도의 치료 전략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요.
크레이머 박사는 “지금까지는 광수용체가 대부분 소실된 말기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레티노산의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는 장차 망막색소변성증으로 인한 저시력 환자에게도 광범위한 혜택을 줄 수 있다.”라며, “레티노산 억제로 신경절 세포의 과활성화를 억제하는 치료는 어쩌면 광수용체의 소실로 빛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효능을 입증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어요.
조만간 크레이머 박사 연구팀은 망막색소변성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에요. 디설피람이 영구적인 치료제가 될 순 없지만, 일시적으로나마 시력을 개선하는 치료제조차 전무한 현실에서 많은 기대를 받고 있어요. 
물론 디설피람은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는 최고의 치료 방법이 아니에요. 예를 들어 디설피람을 복용하는 중에 음주를 하게 되면 심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데 그중에는 두통, 구토, 근육 경련, 얼굴 홍조 등이 있어요. 연구팀은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디설피람을 안구에만 국한해 전달하는 방식 또한 함께 고려하고 있다고 해요.
 
참고 문헌
1. Antabuse may help revive vision in people with progressive blinding disorders | National Eye Institute
2. 팜이데일리
3. Lee, D., Liu, J., Junn, H.J. et al. No more helper adenovirus: production of gutless adenovirus (GLAd) free of adenovirus and replication-competent adenovirus (RCA) contaminants. Exp Mol Med 51, 1–18 (2019)
4. New Treatments for Retinitis Pigmentosa -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